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라면 단 2년간 근무로 목돈 1,200만원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, 바로 청년내일채움공제를 눈여겨보셔야 합니다.
이 제도는 청년의 안정적인 장기근속을 유도하고, 동시에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지원하는 중소기업 특화형 청년 정책입니다.
📌 청년내일채움공제란?
-
시행: 2016년 7월부터 운영
-
취지: 미취업 청년의 중소기업 유입 촉진 & 장기 근속 유도
-
내용: 청년이 2년간 400만원을 적립하면, 정부와 기업이 각각 400만원씩 공동 적립
-
결과: 2년 만기 시 1,200만원(+이자) 목돈 수령 가능
👉 단기 근속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는 우수 인재 확보, 청년에게는 목돈 마련 기회를 제공하는 윈윈 제도입니다.
📌 지원대상
1) 청년 요건
-
만 15세 이상 ~ 34세 이하
-
군 복무자는 복무 기간만큼 참여 연령 상향 (최대 만 39세)
-
-
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업·건설업 중소기업 정규직 취업자
-
월 급여 총액 300만원 이하
2) 기업 요건
-
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업·건설업 중소기업
-
임금체불 사업주, 중대산업재해 공표 사업장 등은 제외
👉 피보험자 수 산정 시 사업주, 일용근로자, 특수고용형태근로자 제외
📌 공제 구조 (2년형)
-
청년 본인: 2년간 400만원 납입
-
기업: 2년간 400만원 납입
-
정부: 2년간 400만원 지원
➡ 만기 시 1,200만원 + 이자 수령
📌 납입 체계
-
청년(근로자): 최초 20개월간 월 16만원 + 이후 4개월간 월 20만원 → 총 400만원
-
기업: 총 400만원 분할 납입
-
정부: 총 400만원 지원
👉 근속 2년 완료 시 청년 계좌로 일시 지급
📌 참여 절차
-
정규직 취업 (제조·건설업 중소기업)
-
워크넷 참여 신청
-
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청약 신청
-
공제금 적립 시작 (청년+기업+정부)
-
2년간 근속
-
만기 시 1,200만원(+이자) 수령
📌 청년이 얻는 혜택
-
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 수익 (400만원 → 1,200만원)
-
2년 이상 근속 경력 확보 → 커리어 안정성 제고
-
만기 후 내일채움공제(3~5년) 재가입 시 장기적인 자산 설계 가능
📌 기업이 얻는 혜택
-
청년 인재 장기근속 유도로 인력난 해소
-
청년 정규직 채용 및 공제 가입 시 중소기업 정책사업(정책자금·R&D·수출 등 51개 분야) 참여 우대
-
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기업 경쟁력 강화
📌 왜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선택해야 할까?
✔
청년에게는 목돈 + 경력 + 안정된 미래 설계
✔
기업에게는 우수 인재 확보 + 정부 우대 혜택
✔
정부에게는 청년 일자리 확대 및 중소기업 지원 효과
즉,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·기업·정부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대표적 청년-중소기업 상생 정책입니다.
✅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의 단순한 목돈 마련 제도를 넘어,
안정적인 근속 경력과 미래 자산 형성을 동시에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라면 반드시 활용해 보세요!